1) 피복재
(1) 피복재 특성 비교
항 목 | 기준(ASTM) | 단위 | PET(4.0mm) | ETFE(0.05mm) |
비중 인장강도 신장율 융점 열변형 광투과도 내구연한 | D1515 D638 D638 DSC - D570 Xenon | - ks/㎠ % ℃ ℃ % 년 | 1.27 558 280 244 (-) 70~150 85 5-7 | 1.75 400 300 400 (-)100~180 93 15 |
(2) 불소필름의 기계적 특성
항 목 | 단위 | 세로 방향 | 가로 방향 | 시험방법(기준) |
인장강도 | kg/㎟ | 4 | 4 | ASTM-D-882 |
신장율 | % | 3 | 3 | ASTM-D-882 |
인열강도 | kg/㎜ | 20 | 20 | ASTM-D-100461 |
인열전파강도 | kg/㎜ | - | 30 | JIS-P-8115 |
광투과율 | % | 90 | JIS-K-6714 | |
열수축율 | % | 5 | 2 | 135℃*30분 |
1 | 180℃*10분 |
(3) 광투과율 비교
※ ① 불소필름의 광투과율은 최초 95.5% 이고 야외 폭로시험 15년 경과 후 93.7%이다(일본자료)
② PET 필름의 광투과율은 최초 85% 정도이고 야외폭로 시험 4년 경과 후 82%, 8년 경과 예측치는 70%정도이다.( SKC(주) 자료 )
(4) 온실 피복재로써의 적합성
① 내약품성, 내열성, 비흡수성(투수성“0”), 내후성, 내마모성, 인열비전파성 등 특성이 농업용 필름 중 가장 우수하다.
② 광투과율이 뛰어나고 자연광에 가깝고 내용연수중 경시적 변화(투광율 저하)가 거의 없다.
③ 온실피복재 중 자외선 투과율이 우수하여 모든 작물 시험에 적합하고 꿀벌에 의한 수정도 가능하다.
④ 비점착성 필름으로 타피복재에 비해 사용중 오염이 잘 되지 않는다.
⑤ 유리처럼 충격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없고 인장전파강도가 우수하여 손상시 주변 전이가 잘 되지 않는다.
⑥ 주의사항
㉮ 방적제 유효기간이 1~3년이므로 방적효과의 지속을 위해서는 2~3년에 한 번씩 방적제 처리가 필요하다.
㉯ 400℃이상에서 분해가 이루어져 자기 소화성이 뛰어나다. 그러나 분해시 유독한 불화수소 및 불화카르보닐, 일산화탄소 등의 발생하므로 반드시 수거 재활용 해야 한다.
2) 천창알미늄바
(1) 기존 알미늄바는 단종되어 부분적 보수가 불가능하여 신형으로 교체할 수 밖에 없으며
(2) 최신형으로 교체함으로서
① 강도를 높혀 바람에 의한 이탈 및 변형 방지
② 조립성, 기밀성, 피복재 지지력이 향상되어 온실 기능 향상 및 동절기 에너지 절감 효과 기대
3) 천창개폐장치
(1) 기존의 문제점
① 개폐기가 한쪽 끝에 설치되어 구동축(18m)의 비틀림 현상으로 개폐도가 불일정 함
② 좌우동시 개폐식으로서 풍향에 따른 개폐조정이 불가능하며, 우천․강풍시 환기 조절곤란
③ ARM 식으로 개폐작동시 부하가 커 모터 무리, 감속기 소음 등
(2) 개선
① 개폐기 중앙 설치로 (구동축-양쪽 9m씩) 천창개폐도 일정함
② 좌우 분리 별도 개폐로 비바람 방향에 따라 개폐조정 가능
③ Rack&Pinion식으로 개폐가 유연하고 부하가 최소화 됨
4) 측창
(1) 기존 권취식의 문제점
① 측면 개폐필름이 측벽에 밀착되지 않아 누기 열손실
(바람불때나 실내 공기 대류에 의한 기류 발생시 들뜨거나 펄럭거림)
② 갖가지 요인으로 수평․직선 되게 개폐되지 않아 필름손상, 잦은 개폐장치 고장, 미관불량
③ 유지․보수 관리상 문제 많음
(2) 알미늄-3WAY-연동개폐(수동)로 교체
① 동절기에 외부필름 추가고정으로 밀폐도를 최대로 향상가능
② 강풍시 문제 발생여지가 없음
③ 고장 우려가 없고, 개폐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, 유지․보수․관리가 용이
④ 미관상 우수
⑤ 개구면적이 측창의 2/3이므로 단동온실의 환기 면적으로 충분하며 천창과 측창의 개구면적 비율이 적당하여 효율적 자연 환기가 가능함
5) 철골보완
측창 설치를 위한 개조, 보완임
6) 지붕, 측면 서가래 및 덮개바 재사용
비용절감을 위한 재사용임
7) 제어장치
기존 제어반은 전기 기기의 노후로 사용불가 하므로 완전 재 제작 교체함